![](/rp/kFAqShRrnkQMbH6NYLBYoJ3lq9s.png)
실시간 속보 - 머니투데이
2년 연속 1조 넘긴 김 수출 '사상 최대 실적' 이어갈까 08:40; 트럼프 관세 재확인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0.75%↓[뉴욕마감] 08:34 "이제부터 진짜 새해"..'결심 소비'에 유통가 웃을까 07:40 "비행기 못 타겠어요"…이륙하다 다시 휘청인 항공주 06:05 "불황 수혜주라며" 돌변한 이 주식…1억원 투자, 5700만원 ...
주4일 근무·정년연장에 '잘사니즘'까지···대선 출사표 같은 이재명 …
1 day ago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국회 연설에 나서 최소 3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제안하는 한편 정년연장과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동시에 '잘사니즘'(모두 함께 잘 사는 세상)이란 비전 아래 'abcdef'(인공지능·바이오·콘텐츠·방위산업·에너지·제조업)로 요약된 국가 성장 ...
한국전력, 국가 미래성장 기여하는 글로벌 에너지 리더 선언
1 day ago · 한국전력이 10일 본사 비전홀에서 사장, 노조위원장, 본사·지역본부 임직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new 비전선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최근 글로벌 에너지 시장 급변과 지속적인 재무위기 상황, ai와 데이터센터 등에 따른 전력수요 급증과 신재생 에너지 확대로 전력계통의 불확실성 또한 ...
[속보]국가안보실, 北탄도미사일 발사에 긴급회의…"만반의 태세 …
Jan 6, 2025 · 정권따라 재건축·재개발 '오락가락'… "이런 곳만 투자하세요" 부동산은 정책에 민감도가 높다. 특히 재개발과 재건축 등 정비사업은 정권과 지자체장의 성향에 따라 좌지우지되는 경향이 있다.
코스피, 6개월 연속 하락 현실로…IMF 이후 최악 '내우외환'
Dec 30, 2024 · 코스피지수가 2400선을 반납하며 올해 마지막 거래일을 마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6개월 연속으로 떨어진 것이다. 그럼에도 투자자들은 바닥을 저울질하는 심리가 여전히 강하다. 국내 정치 지형의 안정, 트럼프 정권을 둘러싼 불확실성 해소가 주가 회복의 실마리가 될 것이란 지적이다 ...
3복 맞은 해외증시, 3재 맞은 한국증시...뭐가 문제였나 - 머니투데이
Dec 30, 2024 · 2024년 한국증시가 거듭된 악재를 이기지 못하고 하락 마감했다. 주요국 증시가 고공행진을 거듭하는 동안 한국은 역방향으로 움직인 것도 모자라 연말에는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이라는 초대형 악재를 맞았다. 경기둔화로 기초체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논란이 장기화되면서 ...
올해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 1400억불 넘본다…정부 총력 지원
Dec 30, 2024 · 올해 반도체 수출이 역대 최대 실적인 14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할 전망이다. 내년 반도체 수출은 '상저하고'로 예측되는 가운데 정부는 올해 마지막까지 수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sk하이닉스 청주캠퍼스를 방문해 수출·투자환경을 점검하고 관련 ...
을사년도 AI…이통3사 "수익화 원년" 선포 - 머니투데이
Jan 3, 2025 ·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새해 전망이 밝지만은 않은 가운데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CEO(최고경영자)는 위기의 돌파구로 'AI'(인공지능)에 주목한다. 3사 모두 지난해 AI조직을 대거 개편한 만큼 올해 본격적인 성과를 낸다는 포부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2일 신년사에서 '궁즉변(窮則變 ...
기후위기 '주범'이 재생에너지 리더로?…중국 뛰는데 한국은 '노란불'
Dec 23, 2024 · ━"내년 놓치면 기회 없다"…2025년이 기후 골든타임인 이유 셋━ 2025년이 한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골든타임'이란 진단이 나온다. 한국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최상위법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 개정이 내년 중 진행돼야 하고, 2035년 국가 탄소배출 감축 목표(ndc) 역시 내년 중 ...
"지금 20조 투자, 20년 뒤 300조 경제효과 발생" - 머니투데이
Dec 19, 2024 · 한국 반도체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 경쟁력을 높이고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연구개발과 인재 유입 정책에 힘써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공학한림원이 지난 1년여간 꾸려온 반도체특별위원회 연구결과를 1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발표했다.